(경영지도사) 시장조사론_자료수집 방법의 결정_실험법

 이번 시장조사론 내용은 자료수집 방법의 결정 중 실험법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관찰법, 서베이법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상대적으로 내용이 간단하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실험법은 시험 출제도 잘 되는 부분이지만 개념적으로 어렵기도 합니다. 내용을 잘 정리해 보시기 바랍니다.

 실험법이 무엇일까요? 
 실험법은 관찰법과 서베이법과는 달리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입니다.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실험실에서 많이 하게 됩니다. 학문적인 목적으로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

 실험법을 공부하기에 앞서 변수라는 개념을 명확히 아셔야 합니다.
 변수는 어떤 상황의 가변적인 요인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독립변수(원인변수), 종속변수(결과변수), 외생변수(독립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립변수 이외의 변수), 독립변수에 변화를 가하는 처치(조작), 통제(외생변수를 동일하게 하는 것), 랜덤화 과정(비교되는 집단에 실험대상이 고루 분포되게 하는 과정) 등의 개념을 외우시거나 이해하셔야 합니다.

 또한 매개변수(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둘의 인과관계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변수), 조절(상황)변수(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의 크기를 좌우하는 제 3의 변수(이 변수가 존재할 때만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이론적 관계 성립))의 개념도 같이 아셔야 합니다. 저번에도 말씀드렸지만 시장조사론은 전공자처럼 깊이 있는 문제가 나오지 않습니다. 이해를 하고 있는가를 묻는 문제가 많다는 사실을 이야기 드렸습니다.

 이런 변수들을 고려하여 어떤 결과를 얻어낼지에 따라 현장실험을 할것인가 실험실실험을 할것인가 결정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내적타당성과 외적타당성의 개념을 아셔야 합니다.

 내적타당성은 무엇일까요?  조사가 다른 변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순수하게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친 정도를 내적타당성이라 합니다. 내적타당성을 위해서는 외생변수를 잘 통제하는 것이 주요한 이슈이며, 그래서 실험실실험에 적합니다.

 외적타당성은 무엇일까요?  조사를 다른 상황에서 실시했을 때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를 외적타당성이라 합니다. 실험이 현실적인 환경이라면 외적타당성이 높겠죠? 그러므로 현장실험이 적합하게 됩니다.

 내적타당성과 외적타당성은 서로 상충관계입니다. 조사목적에 따라 어느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것이죠.
 
 내적타당성은 외생변수의 통제가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외생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면 타당성이 저해되게 됩니다. 외생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혼란이라고 합니다. 내적타당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역사적오염, 성숙효과, 시험효과, 측정도구의 변화, 표본선택의 편향, 실험대상의 소멸, 통계적 회귀 등의 요인이 있습니다. 화면에 각각 내용에 대해 정리된 내용을 캡쳐하였으니, 잘 정리하셔서 머리에 담아 두셔야 합니다.

 또한 외워두시고 이해두셔야 할 사항이 실험디자인의 유형입니다.
 실험디자인은 사전실험디자인, 유사실험디자인, 순수실험디자인, 사후실험디자인이 있으며, 각각 모형들이 있습니다.
  - 순수실험디자인: 사전사후 무작위 집단비교 설계, 무작위 집단비교 설계, 솔로몬 네 집단 순수실험 설계 등
  - 사전실험디자인 : 일회적 사례연구 설계, 단일 집단 사전사후 측정 설계, 집단 비교 설계 등
  - 유사실험디자인 : 비동질 집단 비교 설계, 독립표본 사전사후 설계, 단일집단 반복실험설계 등
  - 사후실험디자인 : 현장연구, 회고연구, 전망연구, 기술연구, 예측연구 등

각각의 개념들이 어떤것인지 외워두셔야 합니다. 해당 내용은 논술문제로도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잘 정리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업계획서 작성법 실전 - 마케팅 계획 (경영지도사 안시헌)

라포형성 위해 필요한 7가지 기술’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아동복지의 대리적 서비스의 종류와 내용에 대해 서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