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조사설계인 게시물 표시

(경영지도사) 시장조사론 - 자료수집 방법의 결정(관찰법)

이미지
 저번 포스트에서는 조사설계의 방법들에 대해 내용을 봤었습니다. 조사설계는 탐색조사로 할지, 기술조사로 할지, 인과조사로 할지를 설계하는 과정이죠. 내가 조사하고자 하는 내용이 어떤 조사방법이 옳을지 설계하는 과정으로 이해됩니다.  그렇다면 조사설계를 통해 탐색조사를 해야겠다던지, 기술조사를 해야겠다던지 선택한 이후에 해야될 일은 무엇일까요? 자료를 어떻게 수집해야 하는지일 것입니다. 바로 자료수집방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결정하고 실행해야 하는 것입니다.  자료는 두 가지로 구분되죠? 바로 1차자료와 2차자료로 구분됩니다. 2차자료는 이미 다른 조사를 위해서 수집되어 있는 자료이고, 1차자료는 마땅한 자료가 없어 직접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 자료이죠. 물론 2차자료를 통해서도 어느정도 판단의 기준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신제품의 경우 2차자료로는 소비자 심리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때 1차자료를 직접 수집하고 분석하게 되는 것이죠.  1차자료와 2차자료의 구분은 약술로도 나온적이 있으니 개념을 잘 파악해 두시구요.  1차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에는 관찰법, 서베이법, 실험법 3가지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관찰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관찰법에 관련된 내용도 시험에 출제된 적이 있으니 개념을 잘 잡아두셔야 합니다. 관찰법은 말 그대로 관찰하면서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관찰법의 방법에는 상기 사항처럼 공개적 관찰과 비공개적 관찰, 구조화된 관찰과 비구조화된 관찰, 자연상태 관찰과 인위적 환경 관찰, 인적 관찰과 기계적 관찰이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잘 알아두시구요. 관찰법의 장단점은 어떻게 될까요? 우선 장점은 조사대상자가 의사소통을 하기 힘든 어린 아이라고 했을 때 사용하기 좋겠죠? 그들은 서베이를 통해서는 알기 힘들죠. 또한 직접관찰하니 행동을 파악하는데 정확하겠죠?  단점은 무엇일까요? 행동은 관찰했지만 동기를 파악할 수는 없죠. 여러가지를 물어보고...

(경영지도사) 문제의 정의 및 조사설계 간략 내용

이미지
    시장조사론의 흐름 중 문제의 정의 부문과 조사설계 부문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한국방송통신대학의 교재 내용과 다른 여러가지의 자료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주요하게 보셔야 할 부분은 탐색조사, 기술조사, 인과조사의 개념과 세부 내용입니다. 이 부분은 출제가 잘 되는 편이니 하나 하나 놓치지 말고 개념과 내용을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인과 관계가 성립하려면 3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3가지 조건을 설명하시오라는 문제가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기술조사의 방법들, 탐색조사의 방법들을 설명하라는 내용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논술문제로 조사설계의 방법들을 설명하고 예문의 내용을 보고 어떤 조사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이런 형태로 시험문제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조사설계는 중요한 부분이니 개념 하나 하나 머리속에 넣어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